2030도시기본계획이란?
2030도시기본계획이란?
-
상위법정계획
토지이용,주택,교통,공원녹지 등 관련 공간계획을 조정·조율하는 "법정 최상위계획"
-
20년장기계획
서울의 미래상과 발전전략을 제시하는 "장기 비전계획"
-
공간계획
시정 4개년계획 등 서울시 공간 책에 대한 큰 틀을 제시하는 "공간 전략계획"
법령에 따라 5년마다 재정비
1990최초계획 수립 후 총 4회 수립
서울의 성장단계별 미래가치 제시 및 골격형성 선도
목표연도 |
2000 |
2011 |
2020 |
2030 |
수립연도 |
1990 |
1997 |
2005 |
2014 |
계획기조 |
쾌적, 건강, 문화, 여유 |
시민본위, 인간중심 |
치유와 회복 |
사람중심의 계획 |
계획배경 및 주요이슈 |
|
|
|
|
2030도시기본계획 개편방향
승인권한 이양에 따라 실질적인 내용으로 압축·개편
2020 도시기본계획 VS 2030 도시기본계획
-
형식종합계획 성격의
방대한 보고서(p.630 이내)-
알기 쉬운 시정 중심의 계획서
(p.150 이내)
-
-
내용12개 부문별 계획
-
5개 핵심이슈 중심의
전략계획 -
권역별 공간계획 기능 강화
-
-
실현행·재정계획
-
주요 정책지표 설정 및
모니터링 강화
-
2030계획의 미래상과 계획과제
소통과 배려가 있는 행복한 시민도시
7대 계획과제
- 인성교육 및 교육비 부담
- 청년, 어린이, 어르신 등 약자를 배려한 복지
- 청년, 어르신, 일자리 창출과 창의적 소기업 육성
- 시민과의 소통
- 역사문화지원 및 경관의 보전
- 기후변화대응 및 환경보전
- 실효성 있는 재개발·재건축과 소다위 정비 추진
핵심이슈 분과
- 복지·교육·여성
- 산업·일자리
- 역사·문화
- 환경·에너지·안전
- 도시공간·교통·정비
2030 공간구조 개편구상
소통과 배려의 공간구조
중심지 체계 비교
2030 서울도시기본계획
-
1도심도심
-
5부도심용산/청량리·왕십리
상암·수색/ 영등포 / 영동 -
11지역중심
- 동북권 : 망우, 미아, 상계
- 서북권 : 신촌, 공덕, 연신내
- 서남권 : 목동, 대림, 사당·남현
- 동남권 : 잠실, 천호·길동
※ 전략육성중심지 :망우, 상계, 연신내 ※ 전략육성지 :마곡, 문정
-
53지구중심
2030 서울플랜
-
3도심한양도성, 영등포·여의도, 강남
-
7광역중심용산 / 청량리·왕십리 / 창동·상계
상암·수색/ 마곡 / 가산·대림 / 잠실 -
12지역중심
- 도심권 : 동대문
- 동북권 : 망우, 미아, 상계
- 서북권 : 신촌, 마포, 공덕, 연신내·불광
- 서남권 : 목동, 봉천, 사당·이수
- 동남권 : 수서·문정, 천호·길동
-
지구중심
기존 지구중심을 유지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후속 생활권계획 수립 시 자치구, 주민 의견을 고려하여 서울시와의 협의를 통해 조정 가능
2030 서울플랜 중심지체계
3도심 7광역중심 12지역중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