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인플루엔자란?

인플루엔자란?

원 인

인플루엔자 바이러스(Influenza A, B, C)

전파경로

잠복기는 1 ~ 4일(평균 2일) 정도이며, 전염력은 대체로 증상발현 1일 전부터 발병 후 약 5일 정도까지로 환자가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 분비되는 호흡기 비말을 통해서 사람에서 사람으로 전파됨

임상양상

  • 38℃ 이상의 갑작스러운 발열, 두통, 근육통, 피로감 등의 전신증상과 인후통, 기침, 객담 등의 호흡기 증상을 보이며, 드물게 복통, 구토, 경련 등이 발생함
  • 합병증 : 가장 흔한 합병증은 폐렴이며, 노년층이나 만성질환자 등에서 기저질환 악화와 합병증으로 사망할 수 있음

치료방법

  • 보존적 치료
    • 안정, 대증요법(수액요법, 해열진통제, 진해거담제 등)
    • 중이염, 폐렴과 같은 합병증이나 2차 감염 발생시 항생제 투여
  • 항바이러스제 투여
    : 인플루엔자 특이 항바이러스제제를 인플루엔자 합병증의 고위험군 등에 대하여 치료와 예방을 목적으로 투여할 수 있음
    • 인플루엔자에 의한 합병증 위험이 높은 고위험군과 소아에서 인플루엔자 의사증상을 보이는 경우
    •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중증 질병 발생 시

인플루엔자 고위험군

  • 인플루엔자 감염이나 그 합병증으로 인한 입원과 사망 등의 질병 중증화 가능성이 높은 집단으로 다음의 경우가 이에 해당함
    • 폐 질환자, 심장 질환자
    • 만성질환으로 사회복지시설 등 집단시설에서 치료, 요양, 수용 중인 사람
    • 병원에 다닐 정도의 다음 만성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 : 대사질환(당뇨병)자, 신장질환자, 만성 간질환자, 악성 종양자 면역저하 환자, 아스피린 복용 중인 6개월~18세 소아, 혈색소병증(hemoglobinopathy)환자
    • 만 65세 이상의 노인
    • 6~24개월의 소아

전파방지

재채기나 기침을 할 경우엔 휴지나 손수건, 옷 등으로 가리고 합니다. 발열과 함께 기침, 콧물, 목아픔 등의 증상이 있는 경우 손씻기와 기침예절을 잘 지키고, 특히 증상이 있는 사람은 마스크를 착용해야 합니다. (면 마스크를 재사용 할 경우에는 깨끗하게 세탁 후 건조하여 사용하며, 일회용 마스크는 재사용하지 않습니다)

예 방

인플루엔자 백신 예방접종

신종 인플루엔자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대변이에 의해 출현한 새로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인체 감염에 의한 급성호흡기감염병

강조신종인플루엔자의 진단기준 등은 신종인플루엔자 출현 시 질병관리본부장이 별도로 정할 수 있음

강조2009-2010절기에 유행했던 인플루엔자A(H1N1)는 ’10.8.10. WHO 대유행단계의 ‘6단계’에서 ‘대유행후단계 (post-pandemic period)’로 하향 조정되었으며, ‘신종 인플루엔자’가 아닌 ‘인플루엔자’로 관리합니다.

잠복기

1일 ~ 3일

임상증상

  • 38℃ 이상의 갑작스러운 발열, 두통, 근육통, 피로감 등의 전신 증상과 인후통, 기침, 객담 등의 호흡기 증상을 보임
  • 합병증 : 폐렴, 급성호흡부전, 심근염 등

치료

항바이러스제 복용

예방

  • 예방접종
  • 손씻기, 기침예절 지키기 등 개인위생강화

국민행동요령

  • 첫째, 손을 자주 씻고, 손으로 눈ㆍ코 ㆍ 입을 만지는 것을 피해 주십시오.
  • 둘째, 재채기나 기침을 하는 경우, 코ㆍ 입를 휴지로 가리는 예절을 지켜 주시면 다른 사람이 감염되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 셋째, 만성질환자 등 고위험군에 속하는 분은 예방접종을 받을 수 있도록 권하고 있습니다.
  • 넷째, 누구든 / 인플루엔자 증상이 있는 분은 가까운 병ㆍ의원에서 진료를 받고 충분한 휴식과 수분섭취를 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담당자 정보1

  • 담당부서 감염병관리과
  • 부서전화번호 02-2670-48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