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약속합니다

구민과 함께 뛰겠습니다.

구청장에게 바란다 상세보기 - 민원번호, 작성자, 이메일, 연락처, 우편번호, 주소, 상세주소, 제목, 내용, 공개여부, 등록일
제목 [공개]서래마을과 대림동의 간극
등록일 2021.07.30 08:23
내용 신문을 읽으며 글을 빌려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서울에는 이주민 유입으로 유명세를 얻은 두 동네가 있습니다. 바로 서래마을과 대림동입니다. 한쪽은 프랑스인 유입으로, 또 한쪽은 중국 동포 유입으로 각각의 상권과 생태계가 발전했습니다.

‘낭만적인’과 ‘칼부림’ 사이에서

그런데 왜인지 한국 사회에서 두 동네의 이미지는 달라도 너무나 다릅니다. 당장 인터넷 검색창에 ‘서래마을’을 입력해보면. 테마 열쇳말로 ‘낭만적인’ ‘이국적’ ‘데이트’ 등이 뜨고, 이어 여러 카페와 레스토랑에 대한 아기자기한 블로그 글들이 보입니다. ‘서울 속 작은 프랑스’라는 문구를 앞세운 대부분의 언론 보도에서 서래마을에 대한 묘사는 매력적이며 ‘프랑스’라는 이미지가 고급스럽게 묻어나옵니다.

이번에는 검색창에 ‘대림동’을 넣어봤습니다. 분위기가 방금과는 현저히 다르다. 물론 ‘대림동 맛집’이라는 연관검색어가 뜨지만, 조금 넘기자 ‘대림동 살인사건’ ‘칼부림’ ‘조선족 조폭’ 등이 줄을 잇고 있습니다. 중국 동포를 향한 혐오표현이 여과 없이 드러나고, 뉴스도 조선족 범죄와 관련된 내용이 대다수로 확인됩니다. 간간이 대림동과 중국 동포를 향한 차별적 시선에 그들의 억울함을 대변하는 기사도 보입니다.

서래마을과 프랑스의 연관성은 적극적인 홍보 수단으로 활용됩니다. 서초구는 프랑스대사관과 자주 협력해 행사를 열고, 아예 서래마을을 브랜드화해서 프랑스 삼색기를 본뜬 로고를 만들고 ‘서울 유일의 프랑스 마을’이라는 문구로 적극 방문객을 유치하고 있습니다.

왜 프랑스 주민과 문화라는 자산은 매력적인 홍보 수단이 되는데, 조선족 주민과 문화는 그 반대의 취급을 받을까? 같은 이주민 공동체를 바라보는 사회의 시선에는 왜 이런 극심한 온도차가 존재할까? 중국 동포와 대림동에 씐 범죄 이미지 때문일까? 사실 두 공동체 모두 그 안에서 일어난 끔찍한 살인사건으로 주목받은 경험이 있습니다. 대림동에선 2017년 12월과 2021년 1월, 두 차례 중국 동포가 저지른 살인사건이 있었다. 이런 사건은 어쩔 수 없이 특정 그룹에 대한 좋지 않은 인식을 더욱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한국 대중은 이 사건을 ‘개인’의 범죄이기보다 ‘집단’ 문제로 받아들였고, 조선족 공동체에 또 손가락질해댔습니다. 물론 ‘너희 고향 중국으로 돌아가라’는 뻔한 레퍼토리도 덧붙이며.

비슷한 살인 사건, 다른 반응

그러나 서래마을에서 프랑스인 주민이 이보다 더 엽기적인 영아 살인·유기 사건을 저질렀을 때, 한국 사회는 분명 다른 반응을 보였습니다. 한국과 프랑스 양국을 떠들썩하게 하고 자칫 외교 갈등으로 번질 수도 있었던 큰 사건인데, 그때 국내 거주 프랑스인 집단을 문제 삼는 이는 아무도 없었습니다. 사실 이게 당연한 반응입니다. 대림동에서 사건이 날 때와 다르게, ‘프랑스인아 너희 나라로 돌아가라’고 하는 목소리는 어디에서도 들을 수 없었습니다. 오히려 반대였습니다. 2015년 프랑스학교가 서래마을에서 부지를 옮기려 할 때, 프랑스 주민이 떠나갈 것을 걱정한 서래마을 주민들과 상권은 이에 반발하고 단합해 결국 프랑스학교를 서래마을에 붙잡아뒀습니다. 한편 대림동의 내국인 부모들은 자녀가 입학할 나이가 될 때 주소를 옮기면서 대림동 내 학교를 기피하고 있는 상황이고요.

왜 이쪽 이주민 집단과 저쪽 다른 이주민 집단을 다룰 때 기준이 다른지 의문이 생기는 건 어쩔 수 없습니다.

영등포구는 대림동을 방치 하지 마시고 재개발을 통한 환경개선을 이뤄주시길 부탁드립니다
‘범죄도시’ 대림동을 벗겨주세요. 감사합니다.

도시재생과 답변

구청장에게 바란다 도시재생과 답변보기 - 답변내용, 답변일, 첨부파일
답변일 2021.08.04 16:39
구정 발전을 위해 관심 가져주심에 감사드리며, 대림동을 재개발사업을 통한 환경개선 요청하신 사항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드립니다.

우리구에서도 대림동의 노후화된 주거환경 개선을 위하여 대림중앙시장 및 서울신대림초등학교 일대에 주거환경개선사업 등을 추진하였습니다. 다만 재개발사업은 일정 비율 이상의 지역 주민 신청이 있어야 진행이 가능한 사업으로 추후 서울시 공공재개발 후보지 공모사업(구역 내 주민10%이상) 등 주민들이 원하는 사업에 대한 기준요건을 충족하여 신청할 경우 적극 추진토록 하겠습니다.

기타 궁금한 사항은 도시재생과(박정수 ☎ 02-2670-3804)로 문의하여 주시면 친절히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