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약속합니다

구민과 함께 뛰겠습니다.

구청장에게 바란다 상세보기 - 민원번호, 작성자, 이메일, 연락처, 우편번호, 주소, 상세주소, 제목, 내용, 공개여부, 등록일
제목 [공개]신안산선 영등포역 철길 후면부 영등포푸르지오 아파트 앞 출입구 설치 강력히 건의드립니다.
등록일 2019.06.28 12:00
내용 (요청사항)
김영주 의원님 공약하신 영등포푸르지오(이하 '영푸') 아파트 입구에 신안산선 출구 만드는거 강력히 요청 합니다.
(필요성)
영푸는 2500세대 가까이 되며 대부분의 주민이 여의도로 출퇴근을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현재 영등포 쪽방촌의 위생, 치안 문제 등으로 아파트 앞에 있는 육교는 거의 이용을 하는 주민이 없습니다. 결국 영등포역을 돌아가서 다시 버스정류장까지 걸어가면 20분은 걸립니다.버스정류장까지 도보 20분걷고 여의도까지 버스타고 내리면 30분은 걸립니다. 자가용을 이용하면 가까운 거리이나 영등포로타리와 서울교는 출퇴근시 교통지옥이 되기 때문에 차막히면 30분은 길에서 허비합니다. 그래서 영푸에서 가깝고도 먼곳이 여의도입니다.
신안산선이 들어오면 여의도까지 한번에 가기 때문에 출퇴근 수요가 어마어마 할 겁니다. 그러므로 영등포 아파트 앞에 신안산선 출입구 신설이 매우 중요합니다. 본 출입구를 통해 영등포역에서 1호선, 신안산선을 모두 탈 수 있도록 부탁드립니다. 이미 영등포역은 영푸주민 말고도 환승인구가 엄청많은데 별도의 영푸 출입구가 없다면 2500세대 주민과 일반시민들이 뒤섞여 영등포역 출구가 극심한 혼잡이 예상됩니다. 따라서 영푸 앞에 별도의 출구가 설치되면 출입구 인원이 분산되어 혼잡도도 떨어질겁니다. 정말 신안산선은 많은 주민들의 수요가 있으며, 김영주의원의 공약사항이기도 하여 이를 믿고 투표한 주민들이 대부분 입니다. 본 공약이 관철되지 않는다면, 영푸 주민의 대부분인 여의도 출퇴근자들이 가만히 있지 않을 것입니다. 도림사거리역보다 훨씬 수요가 많은 영등포역 출구는 꼭 영등포푸르지오 앞에 설치되어야 합니다. 공약 이행 부탁드립니다.
(비용문제)
영등포구청에서 신안산선 출입구 비용을 아파트측에서 부담시 영푸앞 출입구신설 검토가 가능한다는 공문을 보낸거로 압니다. 세금으로 만들어야 할 대중교통 출입구를 인근 아파트주민이 낸 사례가 있나요? 이해불가능입니다. 본출입구는 김영주 의원 공약대로 지자체 세금으로 부담하는것이 타당합니다. 만약 영푸주민이 돈을 내야한다면 아예 영푸 전용출구로 아파트지하로 연결시켜 주시고 카드키나 비번등을 통해 주민만이 드나들수있도록 설치해야 할 것입니다...따라서 계획 및 공약대로 영푸앞에 출입구설치 강력히 요청합니다.

교통행정과 답변

구청장에게 바란다 교통행정과 답변보기 - 답변내용, 답변일, 첨부파일
답변일 2019.07.03 13:21
우리구 대중교통 이용여건에 깊은 관심을 가지시고 신안산선 영등포역 푸르지오 앞 출입구 설치건의를 해 주신점에 대해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귀하께서도 잘 아시다시피 신안산선은 국토교통부 주관으로 민간투자사업으로 추진되는 복선철도 건설사업으로써 푸르지오(아) 앞 출입구 신설은 이미 수차례 동일건의가 있어 국토교통부에 요청하였으나 국토교통부에서는 건의를 수용하기는커녕 오히려 전용 출입구를 설치하는데 필요한 모든 제반비용을 건의자가 부담하라는 내용의 검토결과를 2019.3월에 우리구에 통보한 바 있습니다.
또한 2019. 5월 민간사업자측과의 간담회 개최시에도 영등포역 정거장은 별도의 전용 출입구 설치방식보다는 기존 영등포역사를 통합역사로 활용할 수 있는 방향으로 설계가 진행중이며 그 기준에 따라 영등포역사 내에 1호선 게이트 옆에 신안산선 전용출입구를 설치할 계획이라는 답변도 있었습니다.
이에 우리구에서는 영등포역 푸르지오(아) 주민들의 접근성 향상을 위해 아파트 앞 보행육교에서 철도를 따라 영등포역까지 연결되는 보행로 설치를 2019. 6. 13일에 국토교통부에 제안, 검토를 요청하였음을 추가로 알려드리며 앞으로 이에 대해 국토교통부로부터 별도의 회신이 있을 경우 주민들에게 그 결과를 홍보․공유하도록 하겠습니다.
기타 이와 관련하여 더 궁금하신 사항이나 건의하실 내용이 있을 경우 영등포구청 교통행정과(담당 김대현, ☎ 2670-3874) 및 국토교통부(철도투자개발과 ☎ 044-201-3980)로 문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