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력수준측정
12분 달리기
달리는 것으로 신체적성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12분 달리기 있다.
검사법 : 12분동안 달리거나 걷도록 하는데 달리다가 힘이 들면 걷도록 하여 12분 동안 얼마의 거리를 갈 수 있는 가를 본다.
주의사항 : 거리를 알 수 있는 곳에서 실시하여야 함.
12분 테스트 평가기준
남자
연 령 | 30세이하 | 30~39세 | 40~49세 | 50세이상 |
---|---|---|---|---|
아주좋음 | 2834이상 | 2952이상 | 2525이상 | 2220이상 |
좋음 | 2569-2833 | 2656-2951 | 2130-2524 | 1960-2219 |
보통 | 2322-2568 | 2079-2655 | 1841-2129 | 1783-1959 |
나쁨 | 2058-2321 | 2084-2378 | 1640-1840 | 1662-1782 |
아주나쁨 | 2057이하 | 2083이하 | 1639이하 | 1551이하 |
여자
연 령 | 20대 | 30대 | 40대 | 50세이상 |
---|---|---|---|---|
아주좋음 | 2366이상 | 2136이상 | 1805이상 | 1790이상 |
좋음 | 2045-2365 | 1895-2135 | 1572-1804 | 1647-1789 |
보통 | 1745-2044 | 1670-1894 | 1510-1571 | 1555-1646 |
나쁨 | 1424-1744 | 1421-1669 | 1377-1509 | 1268-1554 |
아주나쁨 | 1423이하 | 1420이하 | 1376이상 | 1267이하 |
윗몸일으키기
윗몸 일으키기 테스트는 복부의 근육과 근력의 지구력을 평가하기 위해 많이 사용되어지는 검사법이다. 복부의 근력약화는 척추를 곧게 지탱하는 능력을 약화시켜 척추의 정렬을 흐트리게 되므로 요통을 유발하게 된다. 즉 복부의 근력은 허리의 유연성과 함께 요통을 예방하는 중요한 요소인 것이다.
검사법
등을 대고 누운 다음 무릎을 약 90도 정도 굽혀 발을 바닥에 대고 손을 몸 옆에 둔다. 이 상태에서 윗몸을 일으켜서 허리 아랫부분이 바닥과 수직을 이룬 다음 원래의 자세로 되돌아갔을 때 한번의 윗몸일으키기 동작으로 간주한다. 60초 동한 수행한 횟수를 기록으로 한다.

남녀의 윗몸일으키기 평가표
윗몸 일으키기(60초) | |
---|---|
우수 | 30회 이상 |
좋다 | 25-29회 |
보통 | 20-24회 |
나쁘다 | 20회 미만 |
팔굽혀 펴기
상지의 근지구력을 측정하는 종목이다. 상지의 근력과 근지구력은 물건을 밀고, 당기고, 들고 하는 일상적인 생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위급한 상황에서 생명을 구하고, 위험을 극복하는데 상지의 근력과 근지구력은 매우 중요한 기능을 한다.
검사법
몸을 앞으로 기울인 상태에서 체중을 솜과 발가락으로 지지하는 자세로 시작한다. 팔은 굽혀서 가슴이 바닥에 닿을 때까지 몸을 낮춘다.쉬지않고 연속적으로 동작을 반복할 수 없을때까지의 횟수를 기록한다. 여자는 무릎을 바닥에 대고 한다.
[남자테스트 방법]
[여자테스트 방법]
앉아 윗몸 앞으로 굽히기
허리의 유연성을 측정하는종목이다. 대부분의 성인들은 요통을 경험하게 된다. 요통의 80% 정도는 근육이 약하거나, 근육긴장이 과도하여 나타나게 된다. 좌업생활과 운동부족은 근육의 약화와 과긴장을 조장함으로써 특히 허리와 엉덩이 부위의 유연성을 약화시키게 되며 나아가 요통을 유발시키는 윈인이 된다. 따라서 요통예방을 위해서는 적절한 운동을 통하여 허리주변의 근육을 강화시키고, 유연성을 향상시켜야한다.
검사법
무릎을 펴고 앉은 상태에서 팔을 앞으로 뻗어 닿는곳의 위치를 발끝으로 부터 잰다. 손끝이 발끈에 미치지 못하면 "-", 발끝을 지나면 "+"로 측정한다.
제자리 멀리뛰기
다리의 폭발적인 힘, 즉 순발력을 측정하는 종목이다. 하지의 운동은 인간운동의 가장 기본적인 유형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를 지탱하는 순발력은 인간의 삶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또한 순발력의 경우, 노화현상이 일찍부터 뚜렷하게 나타나는 특성이 있으므로 각별한 관심을 요한다. 순발력 강화를 위해서는 다리부위의 근력을 강화시켜야 한다.
검사법
제자리에서 멀리뛰기를 한 거리로 측정한다.
50m 달리기
스피드를 측정하는 종목이다. 달리는 운동은 뛰기, 던지기와 함께 인간의 기본적 운동 유형이다. 50m달리기는 짧은거리를 최대속도로 달리는 능력을 측정하는 것으로, 하지 및 복부의 근력과 유연성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노화와 함께 급격한 저하현상을 보이는 특징을 지닌다. 특히 경쟁적인 스포츠를 할 때에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검사법
50m의 거리를 빨리 달린 시간을 측정한다.